버베인~
품 명 : 버베인(Vervain)
학 명 : Vervena offcinalis
영 명 : Vervain, Common Verbena, Holy Herb
원 산 지 :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북부등 북반구의 온대지방
이용부위 : 식물전체
내 력
버베인은 우리나라에도 자생하는 마편초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한방에서는 통경, 황달,
설사, 수종, 부인병 등에 약용하며 민간약으로는 잎을 비벼서 그 즙을 피부병에
바르기도 하는 약초로 알려져 있다.
버베인은 Holy Herb라고도 하는데 기독교의 전설에는 갈보리산에서 예수가 십자가에
달릴 때 그 십자가 밑에서 처음 발견된 풀로서 십자가에서 창에 찔린 예수의 상처를
지혈시킨 풀이라 한다. 버베인은 고대 그리스나 로마에서 중요한 종교행사에 쓰이는
식물이었다 하며 재단을 장식할 뿐 아니라 주술적으로도 쓰였으며 학명의 Verbena도
"제단을 장식 하는 풀"이라는 뜻이라 한다. 고대 로마에서는 제사에 쓰는 성스러운 식물로
숭상하여 Verbenalia라는 제사를 매년 행했다하며 페르시아(이란)에서도 태양숭배 의식에
이 풀을 사용했다 한다. 이 식물은 예언이나 점치는 데 또는 마녀의 주술 이나 병마를
물리치는 신통력이 있다고 믿어져 부적으로 몸에 지니고 다녔다. 고대 로마에서는
이 식물에 적과 화해시키는 특효가 있다고 하여 화목교섭이나 선전포고등을 들고
타국으로 가는 대사는 이 식물로 엮은 화환을 휴대하고 가는 풍습이 있었다. 신통력은
병마도 제압한다고 믿어서 약용으로 예부터 이용했는데 마약이나 최음제로도 쓰고 뱀,
개, 독거미에게 물렸을 때, 목이 부었을 때, 연주창, 경기, 자궁병등에 약으로 썼다.
만병통치약 같은 버베인은 영명을 Vervain이라 하며,
겔터어의 Fer"제거 하다와 Faen"돌"의 합성어 Ferfezen에서 유래한 것인데 이 식물이
방광결석을 제거하는 묘약으로 쓰인데서 비롯된 것이다. 줄기가 가늘어서 말채찍에
쓰였으므로 마편초라 하나 유럽에서는 비둘기가 좋아한다 하여 pigeon grass나
pigeon meat(Foot)라고도 부른다.
지금은 신경을 안정시키는 목욕재로도 이용한다. "버베인"과 "레몬버베나"와 관상용
화초인 "바베나"가 같은 과에 속해 있어서 혼돈 되기 쉬우나 "바베나"처럼 꽃이 아름다운
것도 아니고 "레몬버베나"처럼 향기롭지도 못하여 잎에 약간 쓴 맛이 있다.
유럽에서는 종교적이거나 미신에 얽힌 일화의 이미지가 강한 약초다.
특 성
다년초로 들녁이나 길숲에 자생하는 잡초같은 약초다. 키는 30~80Cm로 자라며
회초리처럼 가느다란 줄기가 곧게 나며 가지를 친다. 털이 듬성하게 나 있고 잎은
호생하며 둔한 거치가 있다. 짙은 녹색이며 위쪽으로 가면서 밝은 녹색이 된다.
6~9월에 연보라색의 조그만 꽃이 가지 끝 밑에서부터 수상화서로 피어 올라가나
그러나 별로 두드러지지 않는다.
수 확
꽃이 피기 시작할 때 포기째 베어서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거꾸로 매달아 빨리
건조시켜서 보관한다.
이 용 방 법
버베인은 포기전체에 Verbenalin이라는 배당체가 함유되어 있어서 소염, 지혈,
진정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트레스나 우울증, 긴장감을 풀어주어
진정시킬 뿐 아니라 경련을 진정시키는 효과도 있고, 발한작용, 강장, 이뇨작용,
최유작용등이 있으며 생리불순에도 좋고 간장병에도 치료제로 쓰인다. 생잎은
상처나 피부병에 소독제로도 쓰인다.
* 블루 버베인 *